![](http://i1.daumcdn.net/thumb/T650x6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Peh1t/btqKrq9mGv9/JODJHMTTUflsQ9xqEckm50/img.jpg)
정보구조 설계 결정된 콘텐츠와 기능에 따라서 정보 구조를 설계할 수 있다. 정보구조 설계에서의 모호성 분류 시스템은 언어 기반 위에서 성립되는 것이며, 언어는 하나의 단어로 여러 가지 뜻을 나 타내는 경우가 많다.‘배’라는 단어도 먹는 배와 타는 배 그리고 사람의 배와 같이 다양한 뜻이 있다. 이와 같이 단어의 모호함은 정보를 분류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불안정한 요 소로 작용한다. 홈페이지에서 우리는 정보의 그룹을 설명할 때 대부분의 경우 단어를 사용해 서 표현을 하는데, 이런 언어의 모호함으로 이용자에게 혼돈을 줄 수 있으며 이런 문제들이 홈페이지 전체에서 일어난다면 심각한 문제가 될 수도 있다. 정보를 분류할 때는 이런 모호 성을 충분히 염두에 두고, 되도록이면 이용자들이 한번에 인식을 할 수 있..
![](http://i1.daumcdn.net/thumb/T650x650/?fname=https://blog.kakaocdn.net/dn/kCG5t/btqJP7vTWTZ/agIZBp2VzgIMUMHgJ2jnfk/img.jpg)
콘텐츠 기획 사용자의 니즈(needs)와 제공하는 콘텐츠 간의 갭(gap)을 분석할 수 있다. 갭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콘텐츠의 방향성을 결정할 수 있다. 갭 분석한 결과에 의해서 결정한 콘텐츠 방향성에 따라서 주요 콘텐츠 수급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어피니티 다이어그램(affinity diagram) 어피니티 다이어그램은 파편화되고 불명확한 방대한 정보를 논리적이고 응집력 있는 그룹으로 조직화하고 분류하는 기법이다. 이 기법의 결과물로는 제한된 그룹의 수이며, 기대하는 목적은 보다 더 좋은 아이디어를 발굴하거나 문제를 좀 더 이해하는 것이다. 어피니티 다이어그램 활용 유형 크게 3가지 유형에서 어피니티 다이어그램을 활용한다. 아이디어 도출이 목적인 브레인스토밍 세션 문제 해결을 위한 세션 고객의 목소..
![](http://i1.daumcdn.net/thumb/T650x650/?fname=https://blog.kakaocdn.net/dn/rIGGN/btqJVNWBfsL/vnqItRtAhkwkcq3383Iqj0/img.jpg)
기능(Feature) 리스트 도출 UI 설계를 위하여 작성된 시나리오에 따라 기능을 도출할 수 있다. 도출된 기능에 대해서 우선순위 기준을 수립하여 주요 기능을 선별할 수 있다. 우선순위 기준에 의해서 선별된 주요 기능의 상세한 내역을 작성할 수 있다. 최소 기능 제품(Minimum Viable Product, MVP) MVP는 리스크나 투자 대비 최적의 성과를 창출할 수 있으면서, 사용자에게 핵심적인 기능을 최소화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정의하는 방식이다. 해당 용어는 프랭크 로빈슨(Frank Robinson)이 정의하였고, 스티브 블랭크(Steve Blank)와 에릭 리이스(Eric Ries)가 대중화시켰다. MVP는 무조건적으로 적은 기능만을 정의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에게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
![](http://i1.daumcdn.net/thumb/T650x6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jzOYd/btqJUNbT6kF/38ETDjY6XzxHGEH0cXEV7K/img.jpg)
UI/UX 콘셉트 도출 도출된 아이디에이션(Ideation)의 프로토타입 검증 결과에 따라서 확정된 UI/UX 콘셉트를 결정할 수 있다. 도출된 UI/UX 콘셉트를 반영하여 목표 고객인 페르소나(persona)를 추출할 수 있다. UI 설계를 위해서 UI/UX 콘셉트에 적합한 시나리오(scenario)를 작성할 수 있다. 페르소나(persona) 페르소나는 사용자의 목적(goals)과 행동(behaviors)을 대표하는 실제 타깃 사용자 그룹을 가상의 캐릭터(artificial person and archetypical users)로 형상화하는 목적 지향적인(goal-directed) 인터랙션 디자인의 방법이다. 핵심적인 캐릭터의 구성요소는 니즈(motivations and needs), 목적, 환경(c..
![](http://i1.daumcdn.net/thumb/T650x650/?fname=https://blog.kakaocdn.net/dn/QfWaT/btqJQJajmLz/KE14iSjn93hL6dAKBV17g1/img.jpg)
프로토타입 개선 프로토타이핑을 이용한 반복적인 분석을 통해 개선된 결과를 가지고 사용자의 니즈에 최대한 부합하는 기준을 도출할 수 있다. 인간 중심 디자인(Human-Centered Design) ISO 9241-210은 컴퓨터 기반으로 동작하는 시스템에 대해서 인간 중심의 효율적 디자인을 다루는 사용성 관련 표준의 하부 표준으로 기존의 ISO 13407을 업그레이드한 대체 표준이다. ISO 9241은 개발의 전 과정에 사용자가 참여하는 것에 대한 강조와 반복적 프로세스 적용을 포함하여 아래와 같은 6개 디자인에 대한 원칙을 제시하고 있다. 디자인은 사용자 작업 및 환경의 명백한 이해에 기초하여야 한다. 사용자는 디자인 및 개발 전반에 참여하여야 한다. 디자인은 사용자 중심의 평가에 의해 정제되고 주도되..
![](http://i1.daumcdn.net/thumb/T650x6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WNi38/btqJTFygLTA/tIAbQ2uIXY1tSYT2BRegek/img.jpg)
프로토타입 이슈관리 프로토타입의 구성요소와 특징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수정 사항을 도출하고 이슈를 보완할 수 있다. UI/UX 개발 관련 이슈 UI/UX 개발과 관련한 이슈는 크게 다음의 시각으로 나누어 볼 수 있을 것이다. 비즈니스 시각 UI/UX 개발 결과물이 비즈니스 요구사항을 충족하고 가치를 창출해낼 것인가에 대한 이슈 사용성 시각 효율적이고 사용자 친화적인 UI/UX를 제공하는가에 대한 이슈 프로젝트 관리 시각 프로젝트 관리 차원에서 다루어져 야할 UI/UX 개발 업무 및 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이슈 비즈니스 시각에서 필요로 하는 UI 또는 UX의 특성이 프로젝트 시각에서는 요구사항, 범위, 자원 관리 등의 이슈로, 사용성 시각에서는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기 위한 아이디어를 도출하여야 하는 대상..
![](http://i1.daumcdn.net/thumb/T650x650/?fname=https://blog.kakaocdn.net/dn/8F61m/btqJRlmQpkA/wjfowAH56Bhe2ytIjcfxHK/img.jpg)
프로토타입 검증 프로토타이핑이 프로토타입의 목적에 맞게 구성되었는지 검증할 수 있다. 프로토타입 검증 전통적인 개발 생명주기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파악하는 것으로 시작해 이러한 요구사항들이 제대로 반영되었는가에 대해서 인수테스트를 통해 검증이 수행되는 업무 흐름을 가지고 있다. 진화적 프로토타이핑을 적용한 UI/UX에 대한 검증은 이러한 개발 특정 시점의 단계적 업무가 아니라 반복적으로 검증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사용자들과 UI/UX 개발팀모두가 완성된 UI/UX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가는 학습이 이루어지며 검증을 통해 얻어진 추가적인 요구사항, 사용자의 제안, 아이디어 등을 반영하여 개선된 프로토타입을 만들고 이를 더욱 높아진 이해도를 가지고 검증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프로토타입 제작 결..
![](http://i1.daumcdn.net/thumb/T650x6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iEptk/btqJPCCLNy4/ocOjSIQJgmuayqOvZcGvmk/img.jpg)
프로토타입 제작 선정된 아이디어를 다양한 방법으로 프로토타입을 제작할 수 있다. 제작된 프로토타입이 목적에 맞게 구성되었는지 분석하고 검증할 수 있다. 프로토타입의 구성요소와 특징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수정 사항을 도출하고 이슈를 보완할 수 있다. 프로토타입 (Prototype) 프로토타입은 상품/서비스가 출시되기 전 만들어진 원형(archetype)을 의미한다. 프로토타이핑(prototyping)은 사용자의 요구사항, 사용자리서치를 통해서 도출된 니즈, 아이디어 등의 개념(Concept)을 담은 모형을 만들어 이후 사용자와 상품/서비스가 제공하는 기능의 추가, 변경 및 삭제 등을 요구사항에 대해 소통하는 도구, 개발이 진행되는 동안 개발 참여자간에 개념을 공유하는 도구를 만드는 설계과정이다. 요구사항 ..
![](http://i1.daumcdn.net/thumb/T650x650/?fname=https://blog.kakaocdn.net/dn/3e937/btqJQICw71p/2ujmlrfclXmcMNrorsFLM1/img.jpg)
콘셉트 아이디어 문서화 패스트 프로토타입 제작을 위하여 선별된 아이디어를 문서화할 수 있다. UI/UX 설계 계획 세우기 : 활동과 문서 선별된 UI/UX 요구사항과 콘셉트 아이디어 들은 UI/UX 설계를 진행하기 위한 정보를 담고 있다. UI/UX 설계는 여러 활동들을 수반하고, 선택되는 활동에 따라 설계의 방식, 소요시간, 문서의 종류가 달라진다. 이러한 문서는 문구로 작성된 문서 외에 화이트보드 스케치, 와이어프레임, 프로토타입 등이 될 수도 있다. 다음은 설계의 계획이 고려되어야 할 사항들의 예이다. (Russ Unger, Carolyn Chandler (2012)) 설계에 적용될 프로세스 설계시 협업 상황 설계 문서에 대한 보고 및 공유 설계문서 상세함의 적절성 문서의 수명 : 프로젝트 중에 업..
![](http://i1.daumcdn.net/thumb/T650x6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BVf1L/btqJPCCLCxn/QRAEeY6oK9695pOKq3QRbK/img.jpg)
콘셉트 아이디어 분석 및 선별 프로토타입 제작을 위하여 도출된 아이디어를 분석하고 UI/UX 개발(제품)에 적합한 아이디어를 선별할 수 있다. 요구사항 선별하기 앞서 사용자들의 요구사항과 브레인스토밍으로 도출된 내용을 목록으로 작성하였다. 그 목록에서 가치가 놓은 것들만 골라내는 선별 작업을 수행하다. 요구사항을 선별할 때는 논의가 타깃 그룹에 초점이 맞춰지도록 프로젝트 목표와 사용자 그룹을 항상 떠올려야 한다. (Russ Unger, Carolyn Chandler (2012)) 요구사항 선별 참여자 요구사항의 선별 과정에는 아래와 같은 입장과 견해를 대변하는 참여자가 필요하다. 사용자의 견해를 대변할 사람 비즈니스의 견해를 대변할 사람 개발팀의 견해를 대변할 사람 프로젝트의 입장을 대변할 사람 요구사항..